Noh HaeYul | critic
Noh Hae Yul Portfolio
노해율, noh hae yul, 작가, artist, art, 조각, sculpture
23
archive,category,category-critic,category-23,ajax_fade,page_not_loaded,,select-theme-ver-3.0.2,wpb-js-composer js-comp-ver-4.11.2,vc_responsive

one stroke : 운동성의 촉발 – 최혜미(예술학)

“타닥.” 주말 오후 집에 혼자 있는데 뭔가가 창문에 부딪쳤다. 무심히 넘기기에는 제법 큰 소리였다. 다행히 창문이 깨지지는 않았다. 그것은 무엇일까? 누군가 던진 돌멩이일까? 그런데 그 ‘단 한번’ 일어난 사건이 내 마음에 일으킨 불안이 만만치 않았다. 한동안 내 눈과 귀는 온통 창문 쪽으로 향하여 작은 변화의...

Self-Action, 물질과 상상(想像)의 관계맺음에 대하여 – 이문정(조형예술학 박사, 중앙대학교 겸임교수)

[caption id="attachment_447" align="alignnone" width="1200"] SONY DSC[/caption] 한계도 제한도 없는 몽상 속에서, 몽상가는 자신을 매혹한 우주적 이미지에 몸과 정신을 바친다. 몽상가는 하나의 세계 속에 있으며, 그는 그것을 의심할 수 없을 것이다. 하나의 유일한 우주적 이미지가 그에게 몽상의 통일성, 세계의 통일성을 준다. 다른 이미지들이 이 최초의 이미지로부터 발생하고,...

균형을 찾아가기 또는 미적형이상학의 세계로 진입하는 키네틱아트

글|김노암(아트스페이스 휴 대표)   1 방이나 집을 벗어나지 못하는 고립된 특정 공간 또는 특정 문화를 벗어나지 못하는 문화의존증후군을 일본에서는 ‘도지코모리’라고도 하고 ‘히키코모리’라고도 부른다. 이 은둔형 외톨이현상은 개별적 개인의 문제가 아닌 전형적인 사회문제이자 사회현상인 것이다. 키네틱에 몰두하는, 그러니까 특정 운동과 그 심미적 효과에 몰입하는 것 또한 사회적이다. 키덜트처럼 몸은...

키네틱 아트, 그 속으로 – 미적 관조에서 생명감의 고양으로

글|장민한 (서울시립미술관 전시과장) 움직임을 보여주고자 하는 열망으로 등장한 키네틱 아트는 미술 전통에 대한 단절이자 혁신이다. 2차원 평면에 사실 같은 환영을 창조하려는 전통을 ‘환영’이 아니라 실제 ‘움직임’으로 대체했다는 점에서는 단절이고, 색과 형태의 조화와 역동성을 움직임을 통해 극대화 했다는 점에서는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에 와서 키네틱 아트가...

움직임의 미학과 과학정신

글|박배형(미학,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   노해율의 작품세계를 접해 본 사람이라면 그가 끊임없이 움직임과 관련된 모티브를 변주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게 될 것이다. “Swing”, “General Move” 그리고 “Movable” 같은 그의 연작들의 제목이 말해주듯 움직임이라는 주제와 무관하게 그의 작품을 이해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러한 사정은 보는 이로 하여금 무엇이...

키네틱 키드와의 대화

글|김노암(상상마당 전시감독)   1. 노해율의 경우 그의 작업실을 말끔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나중에 들으니 직전에 좀 정리를 했다는 것이다. 매사 깔끔한 계획과 설계, 안정적인 키네틱 메카니즘을 짐작해본다. 주제이자 키워드는 역시 운동이고 리듬이다. 또 단순히 미술사적 맥락에서 키네틱아트의 한 사례라고 평할 수도 있다. 작가는 조촐하게 그래픽 처리된 설계도 몇 장을...

노해율 개인전 – Swing Practice

글|유희원 (대안공간 미끌 큐레이터)   처음 작가 노해율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4년 전, 2002년의 한 여름이었다. 그 즈음 나는 대학원에 재학하며 막 미술 현장에 대한 스터디를 시작하던 터였고, 뜻이 맞는 동기들과 함께 전시기획팀을 결성하여 최초로 외부에서 전시를 기획, 진행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냉장고를 열다...

환치된 조각의 본성에 대한 탐미 -작가 노해율 작품에 대한 소론

글|홍경한 (미술평론. 한국문화경영연구원 강사) 1. 조각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삼차원의 공간 속에 형태 (form)와 색(color), 양감(volume)과 볼륨(volume)을 지닌 구체적인 물질로서 강하고 견고한 입체적 구성체'라고 정의되어진다. 하지만 ‘소조하거나 뜨고 깎고 자르고 용접하는' 전통적인 조각 개념이 빛을 발하기 시작한 50~60년대를 지나 70년대를 넘어서면 이 같은 정의는 더 이상 충분한 설명을...